** 타인들과 관계에 있어서 아무리 좋은 의견이 있거나 상대방에 대한 호 의가 있어도 이것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없을 뿐더러 오히 려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. 또 내 생각을 전달한다고 해서 상대방 이 내 생각과 똑같이 받아들인다는 보장도 없습니다. 만일 그렇다면 그 잘 못은 내게 있을 수도 있고 상대방에게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그 다른 무엇에 있을 것입니다. 그 것은 문화차이 세대차 이 등 여러 가지로 분석할 수 있으나 무엇보다도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일 것입니다. 원활한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합니다. 인간적인 관계를 맺 고 정보를 교환하고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주며, 상대를 내가 의도 한 대로 행동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. Communication이 잘 되려면 송신자도 올바로 전달해야 하고 수신자도 그 메시지를 잘 해석 해서 받아들여야 합니다.
1.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. 1) 언어 차이 때문에 - 표현의 차이 및 이해의 차이 등 2) 지역차이 - 지역의 이질성으로 인한 차이 3) 세대차이 - 살아온 시간적 환경에서 오는 차이 4) 문화차이 - 소속된 문화에 의한 인지의 차이 5) 지각차이 때문에 - 똑같은 그림을 보고도 다른 것을 상상하는데 이런 것들 6) 태도 때문에 - 감정, 평가하는 경향, 선택적 수용에 의한 장애들 -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 - 편견이 의사소통을 방해
2. 커뮤니케이션에서 표현 1) 목표를 분명히 한다. - 내가 전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, 내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하는 것, 2) 명확히 표현한다. -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을 확실한 이미지로 그려서 정확한 언어로 표현 -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을 주지 말아야 하고, 되돌아오는 반응을 보 고 내가 말하고 있는 내용이 어떻게 전해지고 있는가를 체크 3) 상대수준을 감안해서 - 상대방 수준이나 경험에 맞춰서 말하는 것 4) 자기노출을 편안하게 - 자기노출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건강한 인격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 5) 신체언어를 사용 6) 상황에 맞게 표현 - TPO(Time, Place, Objective) 즉, 시간, 장소, 목적에 따라 적절 한 표현 방법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함 7) 구체적으로 표현
** 대인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3대 축은 표현하기, 듣기, 그리고 트러블 의 발생등으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. 표현하기는 목표를 분명히 하고 명 확하고도 구체적으로 표현 한다. 상대의 수준이나 경험을 감안하며 자기노 출을 편안하게 한다. 상황에 맞게 표현하고 신체언어를 활용한다. 깊이 듣 기는 뜻을 정확히 이해하고 배경이나 속뜻을 헤아려야 하며 적극적 반응 을 보인다. 의사소통에서 트러블은 언어차이, 지각차이, 태도차이 등 때문 에 발생된다.